세대 VS 세대
세대 VS 세대
  • 배명현
  • 승인 2023.02.13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만화로 구획한 '오늘의 감수성'"

1.

92년생인 내가 속해있는 세대에게 '만화'를 물어본다면 가장 먼저 '원, 나, 블'(『원피스』, 『나루토』, 『블리치』)이 호명될 것이다. 아니, 가장 먼저는 아닐지라도 언급하지 않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한국이란 국가 한정이긴 하지만, '원나블'이라는 고유명사가 존재하는 만큼 위 세 만화는 인기작이란 표현을 넘어 한 세대를 묶어주는 연대로도 기능했으니까. 동의하기 어렵다면 원피스 세대가 어른이 되어 밈으로 만들어버린 김종민의 '내 어린 시절 우연히'를 떠올려보자.

어제가 원나블의 시대였다면, 오늘은 어떤 만화일까. 그 무엇을 골라도 이견과 비판이 있겠지만 나는 <체인소맨>을 뽑고 싶다. 흥행에 있어선 <귀멸의 칼날>이 '넘사'이고 <체인소맨> 2기는 더 이상 소년점프가 아닌 점프플러스에서 연재하고 있지만, <귀멸의 칼날>에서는 흐릿하게 존재하는 하나의 사건이자 하나의 느낌으로서 '무언가'가 <체인소맨>에선 강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 넷플릭스(NETFLIX)

   

만화가 만화를 존재하게 하는 세계에 일으키는 충격, 호응 또는 반발의 형태로 가시화되는 여러 힘 그리고 상호작용. 모호하지만 분명한 그 무언가가 말이다.

나는 이 글에서만큼은 '무언가'를 축소시켜 '오늘(의)-감수성'이라는 단어로 대체해볼까 한다.

 

2.

먼저 <체인소맨>의 정서를 압축하고 있는 오프닝 가사를 읽어보자.

 

1절의 시작은 '오늘은 세탁실이 텅 비어서 럭키데이' 이다. 반사적으로 떠오르는 건 몇 년 전 크게 유행했던 '소확행'이다. (하루키의 의도와는 다르게) 큰 행복 대신 일상의 행복에 초점을 맞추는 자족적 태도 말이다. 하지만 가사는 곧 '이걸 달라, 저걸 달라' '행복해지고 싶어, 안락하게 살고 싶어' '이 손을 쥐고 싶어 당신의 가슴 속'이라 자신의 욕망을 직접 서술한다. 상반되는 가사가 충돌한다. 그는 쉽게 만족하는 사람이 아닌, 욕망하는 사람이다. 이다음으로 오는 가사 또한 눈여겨 볼만 하다 '해피로 가득 채우고 레스트 인 피스까지 가 보자'. 가지지 못하는 것을 욕망하는 자는 평화 속에서 안식할 순 있겠지만 결코 삶을 해피로 채울 수는 없다.

주인공 덴지 또한 이와 비슷하다. 식빵에 잼을 발라먹는 게 소원이었지만 상황이 좋아지자 더 많은 것들을 먹게 되고 다음으론 성적 스킨십을 원한다. 하지만 유대 능력이 상실된 덴지에게 이런 것들이 가능할 리가 없다. 그저 '하루의 삶을 지탱할 만큼의 노력'을 할 뿐이다. 그는 먹고 자기 위해 일을 한다. 설령 그것이 목숨을 건 일일지라도. 주변인들은 꿈이나 삶의 목표, 간절함이 있지만 그에겐 대단한 목표나 그 비슷한 것 조차 없다. 그저 가슴을 만지고 싶을 뿐이다. 동료가 목숨을 잃어도 슬퍼하지 않고 자신의 목숨마저 내다 버린 듯 행동한다. 여기서 주제곡의 가사는 다시금 의미심장해진다. '노력 미래 A Beautiful Star 뭔가 잊어버린 것 같은데'

여기서 잊어버린 건 대체 무엇일까. 이를 추론하기 위해선 '잊어버린'이란 어휘에 집중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잊어버린의 원형인 '잊다'는 어떤 기억의 부재를 의미하지만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은 것이 아닌 원래는 있었지만 현재는 부재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노력과 미래가 아름다운 별과 같은 것이라면 노래하는 이의 상태로 미루어 보았을 때 이는 절대로 닿을 수 없는 욕망의 대상일 것이다. 이는 이전의 소년 만화에선 찾아볼 수 없었던 태도이다.

무릇 소년 만화란 죽기 살기로 악과 맞서 싸우고(노력), 정의를 향해 한 발짝 나아가며(미래), 원피스든 호카게든 되어야(A Beautiful Star) 하는 것 아니었나.

 

3.

'원나블'에선 있었지만 지금은 부재한 것. 결코 해피할 수 없는 것. '저걸 원해, 이걸 원해, 전부 다 원해'라고 말하지만 곧바로 '그냥 허무하네'라고 말하는 것. 나는 이 감각들이 바로 오늘(의)-감수성'이라 말하고 싶다. 그리고 <체인소맨>과 <아리스 인 보더랜드 시리즈>의 결론적인 차이가 바로 여기에 있다.

 

ⓒ 넷플릭스(NETFLIX)

<아리스 인 보더랜드>에서 인물들은 필사적으로 살아남으려 한다. 대게는 비적극적 살인이지만 상황에 따라 불가피하다면 능동적 살인도 마지않는다.

그러나 주인공 '아리스'는 다르다. 보더랜드에 오기 전엔 '현생'에 미련이 없는 백수 히키코모리였지만, 이곳에선 삶을 (정의롭게) 갈망한다. 그는 개인의 생존이 최우선인 보더랜드에서 조차 동료를 만들고 영리하고 정의로운 서바이벌 게임을 한다. 그리고 살아남는다. 이 생존 게임 안에서 아리스와 동료들이 보여주는 건 삶에 대한 의지이다. 이 의지는 생명을 연장시키고 이렇게 연장된 시간만큼 캐릭터들은 삶에 대한 애착을 더욱 강하게 만든다. 특히,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마무리하는 것'이 승리의 조건인 게임이 '끝판왕'이라는 건 보더랜드가 드러내고자 하는 바를 더욱 선명하게 한다. 작품 속 인물들은 죽음에 맞서 싸우고(노력), 정의롭게 한 발씩 내딛으며(미래), 삶으로 복귀(A Beautiful Star)한다.

맹목에 가까운 의지와 행동은 생 그 자체가 소중하다는 의미를 노골적으로 전달한다. 재미있는 점은 이 전달이 일종의 일갈로 보인다는 데 있다. 삶에서 선행되어야 하는 건 생에 대한 '의지' 그 자체이지, '어떤 삶'인지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는, 너희가 살면서 '잊고 있는 그 무엇'이 있다는 일갈 말이다. 물론 이것은 꼰대의 논리이다. 다만, 소확행에 대한 믿음마저 불가능해지고 우정에 대한 낭만이 소멸해버린 2023년에 2010년에 연재를 시작한 만화를 다시 영상화한다는 것, 그것도 서바이벌을 통해 진짜 삶을 성취한다는 내용의 만화를 재생산했다는 점에서 이 힐난에 꼰대의 걱정과 애정이 엿보인다.

게다가 "인생은 게임 같은 것, 더 즐기도록 해."라는 대사를 카메라를 정면을 응시하게 하며 한다니. 나는 이 순간 아오야마 신지의 <유레카>(2000) 속 꼭 살라고 말하는 사와이 마코토가 겹쳐 보였고, 암담하기 그지 없는 야마모투 히데오의 만화 『호물쿨루스』 결말을 생에 대한 '무언가'로 바꾸어 놓은 넷플릭스 영화 <호문쿨루스>(2021)가 떠올랐다.

 

ⓒ 넷플릭스(NETFLIX)

모든 게임을 마친 아리스 일행에게는 선택지가 주어진다. 보더랜드에 남을지 아니면 현실로 돌아갈지. 누구나 예상하듯 이들은 모두 현실을 선택하고 보더랜드에서 있었던 기억을 잃는(것으로 보인)다. 서바이벌에 관한 기억은 모두 잊었지만 그들이 잊지 않은 것이 있다. 살아났다는 기적 속에서 느끼는 어떤 안도감과 여운. 이들은 서로를 기억하지 못하지만 서로의 안녕을 빌어준다. 그리고 다시 현실의 생에 충실할 것이란 예감이 들게 한다. 이들은 모두 현실의 삶에서 고통을 느끼던 인간들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따금 이러한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무기력을 회피하기 위한 강박 혹은 그 어떤 돌파구도 찾을 수 없을 때의 자기 주술처럼 느껴지기도 할 때가 있다. 하지만 뭔가를 잊어버린 이들에게, 그 잊고 있는 것을 떠올릴 의지가 있다면 귀여운 일갈은 괜찮지 않을까. 무력으로 가득한 삶이 '언젠가 보았던 지옥'일 때, 우리는 이 공간을 서바이벌의 게임장이 아닌, 살아야 할 당위를 가지고 있는 현실로 바꿀 필요는 있으니 말이다.

[글 배명현, rhfemdnjf@ccoart.com]

 

※ 동영상 출처: '해외에서 난리난 화제의 그 애니 OST : Kenshi Yonezu - KICK BACK', 쏘플 soso playlist, YouTube

배명현
배명현
 영화를 보며 밥을 먹었고 영화를 보다 잠에 들었다. 영화로 심정의 크기를 키웠고 살을 불렸다. 그렇기에 내 몸의 일부에는 영화가 속해있다. 이것은 체감되는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화를 보다 문득 '아.' 하고 내뱉게 되는 영화. 나는 그런 영화를 사랑해왔고 앞으로도 그런 영화를 온몸으로 사랑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