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일드라이프' 가족 그 연약한 것에 대해
'와일드라이프' 가족 그 연약한 것에 대해
  • 배명현
  • 승인 2020.01.12 15: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 그린나래미디어(주)
사진 ⓒ 그린나래미디어(주)

폴 다노는 스크린에 비치는 배우가 아닌, 스크린을 비추는 감독이 되었다. 이 노선변경은 놀라웠다. 동시에 약간의 걱정을 했다. 폴 다노가 감독을? 많은 배우가 훌륭한 감독이 되었지만 우리는 안다. 그보다 훨씬 많은 배우가 실패했다는 것을.

아마 우리는 <데어 윌 비 블러드>로 그를 처음 기억할 것이다. 광기와 카리스마로 점철된 다니엘 데이 루이스와 대면하는 모습으로, 혹은 <미스 리틀 선샤인>일 수도 있다. 왜소한 체형에 오묘한 분위기를 풍기는 배우로서 말이다. 하지만 그가 감독이라니. 그가 어떤 영화를 만들지 예상이 가지 않았다.

그 걱정을 안고 영화를 보았다. 하지만 영화 시작 첫 쇼트로 나는 내가 얼마나 오만한 걱정을 했던가를 후회하지 않을 수 없었다. 픽스드 카메라로 시작하는 영화는 끝까지 정적인 무게를 이끌고 간다. 이 카메라는 후술하겠지만 '오즈'의 영향이었다. 폴 다노는 배우인 동시에 시네필이었으며, 영화를 만들기 위해 오랜 시간 유심히 영화를 보아왔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작 소설을 기반으로 한 <와일드 라이프>는 장장 7년이 걸렸다고 한다. 영화는 그 시간 동안 시나리오를 집필하며 배우이자 여자친구인 조 카잔이 함께 있었기에 가능했다. 둘은 시나리오를 집필하면서 하나하나 의논했다고 한다. 때문에 완성도 높은 대사와 함축된 대사가 가능하지 않았나 싶다. 이와는 별개로 7년동안 각본을 집필하며 헤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어쩌면 영화를 만드는 것 보다 더 힘들일 일지 모른다 생각했다.

영화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모든 씬을 훑을 순 없지만 중요한 장면은 꼭 상기해 보아야 한다. 영화 초반부 화목한 가족이 나온다. 세 명이 함께 웃는 쇼트. 이 영화의 방향성을 결정할 장면이었지만 나는 영화가 끝난 뒤에야 알았다. 이 지점에서 독자분들에게 신뢰를 잃을 수 있지만 변명을 해야 겠다. 나는 영화를 보기 전 그 최소한의 정보조차 배제한다. 시놉시스조차 읽지 않고 영화를 본 나는 초반 5분 동안 화목한 가족 이야기 인 줄 알았다. 영화 포스터조차 그렇지 아니한가.

하지만 이 모든 것이 플롯의 구조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폴 다노는 시나리오를 조 카잔과 작업했지만 현장 촬영은 혼자 갔다고 한다. 대신 여자친구는 촬영분을 받아보며, 촬영에 있어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때문일까. 폴 다노의 영화는 데뷔작이라고 하기엔 상당히 노련한 쇼트들이 보인다. 가족 붕괴의 시작은 아버지의 해고에서부터 시작된다. 영화의 초반 가족이 한 쇼트에 들어가는 순간 이후 영화는 끝날 때까지 한 쇼트에 담기지 않는다. 단 한 쇼트를 제외하고 말이다. 붕괴와 미끄러짐. 이들은 한 화면에 담기지 못하고 단절된다.

아버지가 산불을 진압하러 가고 어머니가 바람을 피운다. 이제 14살의 소년에겐 감당하기 힘든 일들이 이어지고, 더욱 힘든 건 어머니가 자신의 눈앞에서 그 일련의 행동을 실행한다는 데 있다. 부끄러움도 없고 죄책감도 없다. 소년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오직 아버지의 존재를 회상시키는 것뿐이다. 대사로 히스테릭하게 끊임없이 반복하며 아버지의 존재를 불러온다. 하지만 잔인하게도 이 소년에게 영화는 자비를 베풀 여지가 없다. 더 대담하게 영화는 진행되고 어머니의 퇴행, 부모로서의 책임 의식에서 벗어나고싶은 욕구가 강하게 실현된다.

 

사진 ⓒ 그린나래미디어(주)
사진 ⓒ 그린나래미디어(주)

그 정당성을 보여주기라고 하려는 듯 어머니는 아들에게 산불 현장을 체험시키러 간다. 다시 말하지만 체험시켜주려 한다. 관객은 이 과정에 동참하게 된다. 철저하게 계산된 쇼트들의 연결로 관객은 이 둘과 함께 한다. 산에 들어가는 과정을 점프쇼트로 연결하였다. 아마 폴 다노는 이 길이 얼마나 먼 길인지 동시에 동선을 알 수 없는 곳으로 만들어,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길로 만들려는 뉘앙스를 만들려 했던 것일지 모른다.

그리하여 도착한 산불의 현장. 이곳에서 아들 '조'는 불안을 보게 된다. 어머니 '지네트'가 왜 그렇게 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답과 함께. 지네트의 대사가 함께하며. 니 아빠가 선택한게 뭔지 보렴. 아버지의 귀환만을 기다리던 조는 이제 무엇을 믿어야 하는 것인가. 존재적 물음에 영화는 가혹하리만큼 답을 주지 않는다. 이 뒤에도 계속해서 아버지라는 존재를 입을 통해 소환할 뿐이다. 마치 카뮈의 <페스트>에서 인간들에게 닥친 재앙에 대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인간이 '할 수 있는 일'만을 지리멸렬하게 반복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물론 이 '할 수 있는 일'이란 '해결'과는 전혀 무관한 것인데도 말이다.

[글 배명현, rhfemdnjf@ccoart.com]

 

사진 ⓒ 그린나래미디어(주)
사진 ⓒ 그린나래미디어(주)

 

배명현
배명현
 영화를 보며 밥을 먹었고 영화를 보다 잠에 들었다. 영화로 심정의 크기를 키웠고 살을 불렸다. 그렇기에 내 몸의 일부에는 영화가 속해있다. 이것은 체감되는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화를 보다 문득 '아.' 하고 내뱉게 되는 영화. 나는 그런 영화를 사랑해왔고 앞으로도 그런 영화를 온몸으로 사랑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