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기' 진실과 욕망, 무엇에 솔직해야 할까
'피기' 진실과 욕망, 무엇에 솔직해야 할까
  • 박정수
  • 승인 2023.04.28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실은 어둠 속을 숨어 다닌다"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은 특정한 대상이나 집단에 대한 일반화되고 고정된 견해를 의미한다. 스테레오타입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인종, 민족, 계급, 성별 등의 일반성, 편견에 맞추어 상대를 판단한다. 스테레오타입과 대상이 일치하기를 '기대'하며, 스테레오타입에 해당하지 않으면 의아하게 여기거나 심지어 대상을 부정한다. 그래서 스테레오타입에 편향된 사람들은 상대의 진실을 접할 수 없다. 또 스테레오타입에 맞추어 재단된 사회에선 개인의 특유함을 검열하고 부정한다. 개인은 개인으로서 자유로울 수 없고, 오직 스테레오타입에 맞춰서 행동해야만 한다. 스테레오타입은 개인의 자유와 솔직함을 방해하는 가장 악명 높은 걸림돌이다.

 

ⓒ 해피송

스페인 영화감독 '카를로타 마티네즈-페레다'는 줄곧 스테레오타입을 탐구해 왔다. 그녀의 가장 유명한 단편은 <라스 루비아스>(2016)와 최근 국내 개봉한 <피기>(2022)의 원형이 된 단편 <피기>(2018)다. 카를로타는 두 단편을 통해 진실한 자신을 포기하고 스테레오타입을 선택하면 살아남는 반면, 스테레오타입을 거부하고 내게 솔직하면 사회나 타인이 나를 받아들이지 않는, 스테레오타입의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라스 루비아스>는 스테레오타입만 살아남는 세상, 반면 <피기>는 스테레오타입 대신 솔직한 나를 선택했을 때의 딜레마와 고충을 고민하였는데, 이 단편 <피기>를 장편으로 확장한다.

카를로타는 <피기>를 아주 좁다란 4:3 화면비로 설정함으로써 개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숨 막히는 스테레오타입을 가시화한다. 영화의 도입부에는 4:3 화면비에 도마, 칼, 고리, 그릇 등 정육점에서 사용하는 사물을 담아낸다. 오직 하나의 사물만 클로즈업으로 포착한다. 그것 이상을 담기에 화면비의 좌우는 너무 좁다. 그렇게 담긴 사물들은 인간의 목적에 좋은 것만 남겨져 있다. 고기를 부위별로 나누고 토막 내는 목적에 말이다. 이후 그 사물들을 이용하여 절단한 돼지머리, 다짐육 등을 담는다.

하지만 고깃덩이로 전락하기 이전의 동물들은 인간이 제게 부여하는, 잡아먹히는 가축이란 스테레오타입에서 벗어나고자 몸부림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영화에는 스테레오타입에서 달아난 동물과 붙잡힌 동물이 각기 포착된다. 바로 농장에서 탈출한 황소와 사라네 집에서 키우던 반려견 스파키다. 그중 황소는 영화 내내 잘 보이지 않고 이따금 포착되는 반면, 스파키는 한번 보일지언정 또렷하게 잘 보인다. 

황소는 스테레오타입에서 달아난다. 투우소나 식육용 소라는 인간의 뻔한 스테레오타입에서 말이다. 스테레오타입에서 달아나면 이를 기대하는 시선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반면 스파키는 보인다. 다만, 살아있지 않다. 사라 가족은 세상을 떠난 스파키를 박제했다. 반려견으로서 스파키가 그립고 보고 싶기 때문. 그 기대를 벗어나는 스파키를 상상할 수 없다. 그래서 스파키는 죽어서도 반려견이어야 하는 스테레오타입에 갇힌다. 이렇게 영화의 4:3 화면비에 담긴 사물이나 동물들은 스테레오타입의 전형으로 바라보는 사람의 목적, 기대, 감각을 충족시킨다.

 

ⓒ 해피송

영화의 좁은 화면비에는 '보는 사람에게 좋은' 사물이나 동물만 담기지 않는다. '보는 사람을 위한 인간'도 담긴다. 사냥당한 동물이 먹기 좋은 고기나 피소시지로 만들어져 고분고분해지듯, 인간 또한 다른 누군가의 눈에 보기 좋게 재단된다. 일단 스테레오타입을 따르는 인간이 포착될 수 있다. 영화 속 부모들은 자식이 공부를 잘하고, 가족의 일을 도와주며 교우관계가 괜찮은, '좋은 자식'의 스테레오타입을 막연히 기대한다. 그 기대에서 엇나가는 자식, 불행하거나 가슴아파하는 자식을 차마 상상조차 하지 못한다.

만약 사라가 그 기대에서 벗어난다면 아순은 사라를 다그치고 꾸짖는다. 그래서 사라는 부모가 기대하는 스테레오타입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서 친구들에게 '돼지'라고 놀림을 받은 것, 수영장에서 익사 당할 뻔한 사실을 고백하지 못한다. 설령 사라가 스테레오타입으로 위장하지 않더라도, 아순이 나서서 사라를 스테레오타입으로 꾸민다. 실종 사건을 진술하기 위해서 사라는 경찰서에 가는데, 아순은 미성년자인 딸을 대신해서 부모가 기대하는 '선량한 딸', '무고한 딸'을 진술한다.

또 영화에는 우리가 스테레오타입에 맞춰서 '보고 싶어 하고' '기대하듯', 스테레오타입은 아니지만 보고 싶거나 기대하는 사람들이 포착된다. 사라는 자신과 부모님을 '아기돼지 삼형제'라고 놀린 사악한 여자애들이 수모를 당해도 싸다고 생각한다. 뚱뚱하다는 이유로 놀림을 당한 살인마 또한 마찬가지다. 그래서 살인마는 뚱뚱함을 비하한 사람들을 자신이 보고 싶은 '피해자', '주검'으로 매달아 놓고 전시한다. 이를 사라에게 적나라하게 보여주며 그녀의 기대에도 부응한다. 또 살인마는 사라를 자신의 '여자친구'로서 보고 싶다. 그래서 사라와 그녀 가족을 스토킹하며 자신의 기대에 맞출 수 있는 통제 속에 둔다.

이렇게 4:3 화면비에 담기는 스테레오타입이나 기대한 이미지는 모두 클로즈업으로 포착되어, 대상을 보고 싶어 하는 기대에 부응하고 가까워진다.

 

ⓒ 해피송

그러나 영화의 4:3 화면비에는 스테레오타입이나 보고 싶은 이미지만 담기지 않는다. 스테레오타입에서 벗어난 '보고 싶지 않은 진실' 또한 담긴다. 뚱뚱함은 보편적인 미적 기준에 들어맞지 않는다. 즉 보고자 기대하진 않는 것이다. 이에 영화에서도 다들 보고 싶지 않은 뚱뚱한 사람들을 박해한다. 또 부모 입장에서 '자녀의 실종', '나쁜 자녀'를 보고 싶지 않다. 문제는 스테레오타입에 들어맞지 않은 진실을 긍정하지 않고, 그 진실들을 스테레오타입이나 기대에 맞춰서 재단한다는 것이다. 

뚱뚱한 사람들은 보기 싫다. 그러나 잡아먹혀서 내 혀를 즐겁게 하는 돼지처럼 괴롭히거나 사냥할 수 있다면 얘기가 다르다. 영화에선 뚱뚱한 사람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지 않고,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돼지'라는 스테레오타입에 가둬서 취급한다. 베이컨이라고 놀리고, 또 사라를 뜰채에 가두어 옴짝달싹 못 하게 만든다. 기대하지 않은 대상들이 마음대로 다닐 수 있도록 존중하는 것이 아니라, 바라보는 대상이 보고 싶은 데로 '도축'하고 '궁지'에 몬다.

받아들이기 어려운 진실 또한 마찬가지다. 딸들이 실종되었지만, 그녀들은 '파티광'의 전형이기에 다들 안 좋은 일이 있을 거라 걱정하기는커녕, 파티를 하느라 귀가가 늦는 것이라 지레짐작한다. 그러나 스테레오타입에 맞춰 태평하게 기대하는 동안 실종된 세 여성 중 한 명은 사망했고, 클라우디아는 한쪽 팔을 잃었다. 이렇게 영화의 좁다란 4:3 화면비는 스테레오타입을 가시화한다. 옹졸한 스테레오타입만을 허용하는 아주 좁은 공간임과 동시에, 진실을 스테레오타입에 가두고 재단하는 편협한 공간으로서 말이다.

영화 속에서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클로즈업에서 멀어지거나, 4:3 화면비 바깥으로 달아나야 한다. 사라는 자신을 스테레오타입에 가두는 아순의 시선, 또래들의 SNS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들이 보고 싶어 하는 사라로 매 순간 클로즈업된다. 그런 와중 잠시 시선이 사라진 틈을 타서 사라는 수영장에 간다. 그 과정에서 사라는 카메라에서 가까웠다가 점점 더 멀어지고, 이윽고 프레임 바깥으로 이탈한다. 이는 경찰서에서 귀가할 때, 어머니의 지시를 무시하는 장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스테레오타입을 기대하는 시선에서 멀어질 때 인간은 자유롭다.

이와 반대로 그 수영장에서 괴괴한 사건이 발생하는데, 이를 목격한 사라는 인적이 드문 도로로 헐레벌떡 도망친다. 사라는 익스트림 롱숏으로 포착되어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멀리서 차가 한 대 다가오고, 그 차를 모는 청년들은 사라를 목격하여 베이컨이라고 놀리기 시작한다. 아무리 뛰어도 그들에게서 달아날 수 없는 사라는 다시 카메라에 가까워지고 스테레오타입에 갇힌다.

 

ⓒ 해피송

이렇듯 스테레오타입에 의해 희생되는 살인마와 사라는 '물'을 좋아한다. 스테레오타입에 따른 구체적이고 엄격한 검열에 둘러싸인 개인은 추상적이거나 유연하기 어렵다. 스테레오타입의 폐쇄적인 특성과 달리 물은 변형가능성으로 가득하다. 사라는 아순의 시선을 피하기 위해서 수영장으로, 여자애들의 놀림에서 달아나기 위해 수중으로 뛰어들었다. 또 사라가 수영장으로 가는 길목은 익스트림 롱숏으로 포착된다. 아득해서 잘 보이지 않는 대상을 상상으로 채워 넣는 익스트림 롱숏처럼 물은 확실함에서 멀어져 추상적으로 스테레오타입을 파기한다. 물과 더불어 어둠 속에서 그들은 자유롭다. 빛으로 가득한 낮엔 스테레오타입에 따라서 보여야 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스테레오타입에 따라서 진실을 괴롭히고 검열한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선 특정한 무언가로 보일 필요가 없다. 투우소나 식육용이 아니게 된 황소는 어둠 속을 거닐고 있다. 황소처럼 사라는 밤에 외출하기가 더 편하다. 진실은 어둠 속을 숨어 다닌다.

결국, 낮과 지상에서 살아야 하는 인간이기에, 카를로타는 물과 어둠을 무제한적 가능성을 무조건 긍정하지 않는다. 작품의 결말에서 카메라는 수중은 아니지만 흡사 수중의 자유로운 움직임과 같은 드론의 '하이앵글숏'으로 지상을 포착한다. 즉 우리가 사는 지상에서 물의 유연함과 균형을 이뤄야 한다. 그렇다면 무엇에 솔직하고, 무엇이 제한되어야 하는가. 이는 사라의 '폭식'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사라는 항상 폭식하진 않는다. 폭식을 유도하는 기폭제가 있다. 그녀는 자신이 목격했지만 발설하기엔 두려운 사실을 숨길 때, 과자를 꺼내 먹는다. 또 증거가 될 수 있는 팔찌를 훼손함과 동시에 사탕을 사서 먹는다. 불안한 상황에서 먹을 게 없다면 머리카락을 씹거나, 헤드폰을 끼고 듣고 싶은 음악만 들으며, 제 방에 있다면 자위를 즐긴다. 즉 그녀는 부정직한 상황에서 어떻게든 솔직하기 위해서 구미가 당기는 무언가를 취식하며, 정직한 욕구 일부를 회복한다. 하지만 정작 정직해야 할 진실은 증언하지 못하고, 솔직하지 않아도 될 것엔 억지로 솔직하다.

   

카를로타는 진실 대신에 선택한 '욕구의 솔직함'을 경계한다.

영화 속 솔직한 욕구는 스테레오타입이나 보고 싶은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이로써 진실을 훼손하는 폭력이다. 지금껏 내 욕구에 솔직하기 위해서 대상을 사냥하고 도축했다. 또 어둠 속에서 솔직한 두 존재, 황소와 살인마가 날뛰다가 서로 충돌한다. 황소는 즉사하고, 충돌한 차에 탑승한 두 사람도 다친다. 즉 솔직한 욕구는 충돌과 파멸을 자아낸다. 그래서 솔직한 욕구를 멈추고, 대신 진실에 솔직해야 한다. 박해를 피해서 어둠 속에 진실을 품고 숨은 사라는 인간이 마땅히 누려야 하는 빛, 곧 손전등과 불꽃놀이, 조명을 두려워했다. 하지만 사라는 결말에서 어둠에서 빛으로 한 발짝 조심스러운 발걸음을 내디딘다. 비로소 서로의 진실을 긍정하게 됐을 때 말이다.

사라는 살인마가 바라는 기대가 덧씌워진 소녀들을 자유로운 상태로 해방시킨다. 사라는 본래 클라우디아와 친구였지만 스테레오타입이 둘의 우정을 갈라놓았다. 그러나 이젠 클라우디아가 사라에게 용서를 구하고, 사라 또한 그녀를 사냥하지 않고 구조하며 스테레오타입이 씌워지기 이전으로 되돌아간다. 이후 사라는 피범벅이 된 상태로 살인마의 아지트에서 탈출한다. 피가 묻은 대상은 익히 불결하다 생각한다. 생리가 터진 사라를 대하는 아순이나 페드로 아빠의 반응이 피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이다. 그러나 페드로는 피 묻은 사라를 의심하거나 곁눈질하지 않고 그저 도와준다. 그렇게 스테레오타입에 따라서 진실을 박해하지 않을 때, 어둠 속에 가렸던 진실은 밝혀지고, 더는 진실을 밝히는 빛을 두려워하지 않는 법이다.

[글 박정수, green1022@ccoart.com]

 

ⓒ 해피송

피기
Piggy
감독
카를로타 마르티네스-페레다
Carlota Martinez-Pereda

 

출연
라우라 갈란
Laura Galan
카르멘 마치Carmen Machi
카밀 아길라르Camille Aguilar
리처드 홈즈Richard Holmes
이레네 페레이로Irene Ferreiro

 

배급|수입 해피송
제작연도 2022
상영시간 99분
등급 15세 관람가
개봉 2023.04.26

박정수
박정수
예술은 현실과 차별화된 고유하고도 독립적인 차원입니다. 그중에서도 영화는 타 예술 매체와 구분되는 고유한 시각적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예술만의, 오직 영화만의 경험을 독자 여러분께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동시에 영화는 현실에서 비롯되고, 인간에게 이바지합니다. 그렇기에 현실-예술, 인간-영화를 이어내는 교두보와 같은 글을 제공하고자 노력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