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que] '응시'로 만들어지는 기적의 순간
[Critique] '응시'로 만들어지는 기적의 순간
  • 배명현
  • 승인 2022.04.28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캐롤>,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 오늘의 영화 중 가장 눈부신 위치에 놓일 서사"

"우리는 82명이다. 오늘 우리는 1946년 시작된 칸영화제부터 현재까지 이 계단을 오른 82명의 여성 감독을 보여주기 위해 이 자리에 올랐다. 같은 기간 이 계단을 오른 남성 감독은 1,688명이다. (...) 우리는 카메라의 앞과 뒤에서 남성 동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경쟁할 수 있는 세상을 원한다" 케이트 블란쳇, 2018.05.12 

최근 가장 열렬한 지지를 받는 서사를 뽑으라면 단연 여성서사이다. 단순하게 '여성이 주인공이기 때문'에 주목받는 것이 아니라 여성이 주인공이기에 가능해지는 서사가 있기 때문이다. 이건 '지금-여기'에 관한 문제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봤던 것을 어제의 것이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닌, 우리가 지금까지 외면했던지, 혹은 굳이 보려 하지 않았던지, 또는 보려 하지도 않았던 이야기들이기 때문이다. 이제는 그 이야기들이 (너무 늦었지만) 등장하고 있다.

<가장 따뜻한 색 블루>(2014), <캐롤>(2015), <쉐이프 오브 워터>(2017),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2019) 이 영화들은 비평적·상업적으로도 찬사를 받은 근래 만들어진 여성영화이다. 그런데 이 영화들의 공통점이 보이지 않는가? 여성서사의 가장 높은 위치까지 간 이 작품들 모두 멜로영화라 점이다. 왜인가. 그저 우연의 일치일까. 뭐 그럴 수도 있다. 이 작품을 만든 감독들이 '멜로를 만들어야 훌륭한 작품이 나올 거야'라고 생각하며 만들지는 않았을 테니까. 그러나 다시 묻건대, 왜 근래 나오는 다수의 다양한 장르 여성서사는 왜 이 영화들과 동등한 비교가 힘이 들까. 나는 여기에 이 멜로라는 장르에 여성서사가 위치할 수 있는 독보적인 위치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생각해보자. 멜로(melodrama)는 필연적으로 내밀한 이야기이다. 이 내밀성은 거대한 이야기와 전혀 다른 결을 가진다. '세계'라는 거대한 것이 추구하는 가치가 아닌, 더욱 내밀한 것의 가치, 두 사람만이 존재하는 순간에 피어나는 어떤 반짝이는 순간. 이 내밀함이 결코 세계와 무관한 것은 아니지만(오히려 이 내밀함이 세계의 가치와 대립항을 세우기에 세계와 분절될 수 없다는 아이러니가 생겨나게 된다. 그리고 이 내밀성은 세계와 대항한다), 어느 정도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기에 만들어지는 긴장상태가 존재한다. 이 긴장이 영화의 내부를 가득 채우고 관객을 몰입하게 만든다. 그렇기에 지금까지의 많은 멜로(이성애 중심)의 대다수 작품이 대중친화적이었다면, 여성서사로 만들어진 멜로는 다른 곳에 자신의 위치를 가질 수 있었다.

 

ⓒ CGV아트하우스

토드 헤인즈 감독의 <캐롤>을 생각해보자. 테레즈(루니 마라)가 처음 캐롤(케이트 블란쳇)을 보았을 때, 그녀는 감정을 느낀다. 그녀가 본 건 그저 한 '사람'이 아니다. 사랑의 대상을 바라보는 눈빛이다. 연기만 이렇게 연기한 것이 아니라 극에서도 실제로 그렇게 표현되고 있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나는 순간 멈추어버린 장난감 기차는 '사건' 그 자체를 의미하며 영화 중반부에 그 기차가 캐롤의 방에서 다시 달리기 시작하며 두 사람의 진행을 보여준다.

두 사람의 여행은 어떠한가. 눈이 내리는 날 터널로 들어서는 두 사람을 담는 카메라는 초점을 일부러 틀어 몽환적인 느낌을 준다. 더불어 디졸브로 화면을 연결시키며 환상적인 인상을 남긴다. 이제 두 사람이 시작하는 여행의 전반을 암시한다. 이때 두 사람을 촘촘히 연결하는 감정을 이루는 재제는 시선이다. 시선의 주체와 대상이 서로 교환되는 방식으로 존재하는 시선. 이 시선에서 주체는 객체가 되고, 객체는 다시 주체가 된다. 우위의 관계가 아니다. 수평의 관계이다.

하지만 두 사람의 여행은 여행일 뿐이다. 여행은 일상에서 벗어나 다시 일상으로 돌아와야 하는 귀결이다.(그렇기에 장난감 열차는 궤도를 빙글빙글 돌 수밖에 없다) 두 사람의 사랑은 세계의 영향으로 무너진다. 세계는 위계로써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계는 두 사람을 무참하게 짓밟는다.

 

© The Weinstein Company

그러나 두 사람의 무결한 사랑은 이렇게 끝나지 않는다. 캐롤은 지난 여성서사의 비극적 주인공들보다 한발 더 나아간다. 캐롤이 떠난 그 자리에서 일어나 걸어간다. 그리고 바라본다. 수많은 사람들이 앉아있는 식당에서 오로지 캐롤에게만 초점을 맞춰 바라본다. 이때 우리의 시점은 테레즈로부터 멀어진다. 그리고 다시 130도 정도 뒤에 있는 캐롤을 향해 카메라는 다가간다.

이 순간이 우리가 관객이 아닌 루니 마라의 시선으로 캐롤을 보게 되는 기적과 같은 순간이다. <캐롤>은 두 사람의 시선을 넘어 관객의 시선을 영화의 인물 안에 집어넣어 보여주었다.

 

 

ⓒ 그린나래미디어

셀린 시아마 감독의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어떠한가. 그녀의 영화도 '시선'으로 영화의 내부를 가득 채우고 있지만, 더 용감한 선택을 했다. 설정 자체를 여성의 세계로 만든 것이다. 이 작은 세계는 남성의 권위로 만들어진 닫힌 세계이지만 이 안에서 여성들은 서로의 삶을 독자적으로 만들 수 있게끔 한다. 그리고 이 작동원리를 따라 영화 전체가 움직인다.

그림, 그것도 초상화를 그린다는 것은 피사체와 화가가 가지는 시선의 교차 그리고 그 안에서 발생하는 기묘한 긴장관계를 다룬다는 것이다. 형태를 닮게 그리는 것이 아닌, 그 사람을 2D의 형태로 구현해내는 것. 그러나 한계가 있다. 우리의 인식에서 화가는 어떤 주체성을 가진 사람이고, 피사체는 객체에 가깝게 느껴진다. 이는 행동의 유무 때문일 것이다.

 

ⓒ 그린나래미디어

심지어 이 영화의 시대성을 생각했을 때 권력 자체는 엘로이즈(아델 애넬)가 가지고 있지만, 그림을 그리는 행위로만 본다면 마리안느(노에미 메를랑)가 모종의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옷을 고르거나 포즈를 요구하는 등) 느껴진다. 그 때문에 이를 뒤집고자 마리안느는 다시 그림을 그리기를 주문한다. 이때 그리는 '결혼 초상화'는 아이러니하게도 이 여성의 세계 안에 있는 엘로이즈와 마리안느의 관계를 유지시키는 매개이자 시간으로 존재한다.

영화 전체를 보더라도 수평적인 구도로 인물을 배치하고, 부감(high angle)이나 앙각(low angle)보다는 패닝(panning)과 틸트(tilt)로 인물을 다룬다. 시아마는 시선의 움직임으로 이 세계에 존재하는 이들을 '같은 위치'에 놓고 바라보았다. 그렇기에 이 사랑은 개인의 내밀한 사정을 넘어 이 작은 세계를 외부의 세계(남성)로부터 안온하게 포옹해주는 동시에 대립되는 항으로 존재하게 만들 수 있었다. 동시에 내밀한 개인의 이야기를 하는 것만으로 인간의 내면에만 빠지지 않을 수 있게 한 거대한 작품이 되게 할 수 있었다. 그렇기에 이 사랑은 오직 두 사람만의 것이 아닌 여성(들)의 서사로 나아갈 수 있었다.

영화의 결말에서 엘로이즈와 그녀의 딸을 담은 그림을 본 마리안느의 시선이 28이라는 숫자(두 사람의 추억을 상징)에 고정되고, 그 다음 마리안느가 바라본 엘로이즈를 부감 클로즈업으로 당겨 잡으며 영화가 끝이 났을 때, 우리는 다시 한번 '이 영화의 시선'에 대해 생각한다.

 

ⓒ CGV아트하우스
ⓒ 그린나래미디어

<캐롤>이 서로의 시선을 마주하는 방식으로 시대성 안에서의 비극적 사랑을 긍정한다면,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은 세계 안에서 이 이야기가 가지는 현실성을 직시하는 동시에 그림을 그리던 순간과 뒤바뀌어버린 위치가 가지는 전복성을, 그리고 두 사람의 내밀성 모두를 관객의 마음 안에서 폭파시킨다. 이 시선이 가지는 영화 내부에서 길어 올린 의미의 확장은 여성서사 그 자체의 영역의 확장이라 말해도 틀린 말이 아닐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다시 그어진 한계선은 다음 영화들에 의해서 다시 그려지길 기다리고 있다. 우리는 오늘의 영화를 보았고 이제, 내일의 영화를 기다리고 있다. 그 다음 여성 서사의 이야기는 어떤 형태와 방향으로 나아갈까. 새로운 한계를 그리는 영화들의 등장과 82명 그 이상의 수를 기다린다.

[글 배명현, rhfemdnjf@ccoart.com]

배명현
배명현
 영화를 보며 밥을 먹었고 영화를 보다 잠에 들었다. 영화로 심정의 크기를 키웠고 살을 불렸다. 그렇기에 내 몸의 일부에는 영화가 속해있다. 이것은 체감되는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화를 보다 문득 '아.' 하고 내뱉게 되는 영화. 나는 그런 영화를 사랑해왔고 앞으로도 그런 영화를 온몸으로 사랑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