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상호] '돼지의 왕' 개와 돼지라는 계급
[연상호] '돼지의 왕' 개와 돼지라는 계급
  • 배명현
  • 승인 2020.06.21 2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중적인 작품을 하고 싶어요. 그런데 사회적 메시지를 띈 작품이 결국 대중적인 게 아닌가 싶어요. 어차피 사람들은 사회 속에서 사는 거잖아요.", 감독 연상호

나도 동감한다. 대중적이다는 것이 단순히 순간의 흥행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면 말이다. 사회적이지 않은 작품은 아무리 미학적으로 훌륭하다 해도 영화가 끝난 후 남는 것이 없다. 공허하다. 그런 영화는 인기를 끌 수는 있다 하더라도, 금세 잊혀진다. 오랫동안 살아남는 작품은 결국 그 사회를 반영하는 작품이라고 현재의 나는 믿고 있다.

<돼지의 왕>은 살아남았다. 개봉 당시에도 많은 화제를 만들며 작품성을 인정 받았고 현재도 한국 애니메이션의 획을 그은 작품으로 남겨져있다. 영화 개봉이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한  '무비 맥스'와 인터뷰는 그래서 인상깊다. 지금은 10개 이상의 필모를 가진 그가 말한 내용 중 가장 인상 깊은 멘트는 이것이다.

 

사진 ⓒ KT&G 상상마당
사진 ⓒ KT&G 상상마당

"계급사회를 보여주고 싶었어요. 특히 계급사회 하부구조에 대해서요. 그 동안 상위층의 비리와 속성을 말한 작품은 많았잖아요. 하부구조를 다룬 작품도 없었던 건 아닌데 지나치게 낭만적이거나 수박 겉핥기 식으로 훑는 데에 그친 게 많았죠. 저는 리얼하게 보여주고 싶었어요."

리얼하게 보여준다. 그건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영화는 문화 '산업'이기 때문에 대중이 보고싶어 하는 것을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보고싶지 않은 것을 선택한 다는 것은 분명 불리하다. 하지만 연상호는 그 불리함을 품고 작품을 만들었다. 그가 보여주고 싶은 '현실'이란 보고싶지 않은 것들이기 때문이다.

중학생임에도 불구하고 철저한 계급제로 나뉘어진 교실, 폭력, 학대, 가정 불화, 죽음, 실패 등등등. 이 영화는 인물들에게 일말의 희망도 제시하지 않는다. 결말 또한 흔히 말하는 꿈도 희망도 없다. 영화를 러닝타임 내내 종료 버튼을 누르고싶은 욕망이 들끌어오른다.

 

사진 ⓒ KT&G 상상마당
사진 ⓒ KT&G 상상마당

하지만 연상호는 명확하게 이 지점을 파고든다. 애니메이션이기에 가능한 폭력들을 광기에 가깝게 보여준다. 누군가는 이 영화에 대해 폭력을 전시한다 라고 할 수 있겠지만 필자는 거기에 반만 동의한다. 분명 '쎄게' 가려는 의도와 포부는 명징하게 보이지만, 그것이 필요악 처럼 포기할 수 없는 지점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영화와 윤리, 혹은 필요악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겠다. 이 지면은 연상호의 <돼지의 왕>을 2020시점으로 다루는 글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다시 말해 폭력을 전시한다는 의견에 '반'이나 동의하는 것이다. 돼지의 왕은 2008년에 개봉한 영화이다. 그리고 08년이었기에 개봉할 수 있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한 반에 개와 돼지라는 계급으로 나뉘어있는 중학생 1학년의 반, 영화 속 현재 시점으로 진행되는 두 인물로 진행된다. 그 속에서 여성 인물은 분명 소모적이다. 이름 없는 룸살롱 인물, 김철의 어머니, 목졸려 죽은 경민의 아내(영화는 설명 하진 않지만 맥락 상으로 경민이 자살하기 전 목졸라 죽인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종석에게 맞으면서도 그를 걱정하는 명미. 이 영화에서 남성 캐릭터라고 해서 희망적이거나 긍정적인 모습은 아니다. 하지만 화면에 몇번 비추지 않으면서 소모되어 버리는 캐릭터는 모두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사진 ⓒ KT&G 상상마당
사진 ⓒ KT&G 상상마당

이때 다시 영화의 사회성을 이야기 해야 한다. 08년도에 나온 이 영화는 왜 모든 여성이 절망의 화면 속에서도 얼굴을 비추지 못했는지. 2020의 시점으로 다시 보아야 한다. 물론 우리는 이 <돼지의 왕>을 단적인 시선으로만 보아선 안된다. 하지만 내가 예전에 보았던 눈과 현재의 눈에서 가장 다르게 느낀 지점은 폭력과 여성을 다루는 지점이었다. 그 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고 말해버리고 책임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다.

계급 사회를 명징하게 은유하는 공간인 학교, 영화 속 동네에서도 여성은 등장하지 않는다 말할 수 있을 만큼 큰 의미가 없다. 심지어 종석의 화풀이 대상인 명미는 온갖 폭력을 당하면서도 종석을 걱정한다. 왜 그녀는 그렇게 하는가에 대한 실마리도 보여주지 않은 채 영화는 끝까지 진행된다. 가장 큰 의문은 종석은 영화가 진행되는 내내 명미의 전화를 받지 않는다. 이 때 종석은 계속 해서 전화를 받지 않고, 핸드폰을 끄지도 않는다. 왜인가. 자신을 찾는 전화가 끝어지는 순간 자신의 사회적 연결이 끝나버리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자신을 찾아야 하지만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그 무엇하나 해낼 수 없는 -능동적으로 세계를 향해갈 의지- 상태로 사회성을 거세당한 종석에게 명미는 성녀이다. 영화의 마지막은 종석의 대사 한 줄로 끝난다. 지금 어디냐는 명미의 말에 그는 이렇게 대답한다.

 

이곳은 얼음처럼 차가운 아스팔트와 그보다 더 차가운 육신이 뒹구는  세상이다.

사진 ⓒ KT&G 상상마당
사진 ⓒ KT&G 상상마당

그렇다면 이 세상에서 다시 한번 배제 당한, 이름조차 말하지 못한 인물들은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나. 영화의 움직임 안에서 은폐 당한 채 희생의 역할로서 모습을 감춘 이들은 영화가 끝난 후 어떻게 되었을 것인가. 나는 감독의 인터뷰를 다시 한번 복기한다. "사회적 메시지를 띈 작품이 결국 대중적인 게 아닌가 싶어요. 어차피 사람들은 사회 속에서 사는 거잖아요" 이 작품에서 드러나지 않은 여성의 모습도 '이제는' 드러나야 좋은 영화가 아닐까.

분명 영화는 명징한 계급 사회에서 입체적이지 않은, 그래서 오히려 더 훌륭했던 작품을 왜 지금은 다른 눈으로 볼 수 밖에 없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그렇기에 이 영화는 있는 그대로를 보여준 동시에 영화에서 '드러나지 않은 지점'을 보여준 것이다.

[글 배명현, rhfemdnjf@ccoart.com]

 

사진 ⓒ KT&G 상상마당
사진 ⓒ KT&G 상상마당

 

배명현
배명현
 영화를 보며 밥을 먹었고 영화를 보다 잠에 들었다. 영화로 심정의 크기를 키웠고 살을 불렸다. 그렇기에 내 몸의 일부에는 영화가 속해있다. 이것은 체감되는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화를 보다 문득 '아.' 하고 내뱉게 되는 영화. 나는 그런 영화를 사랑해왔고 앞으로도 그런 영화를 온몸으로 사랑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